경제의 기록/ESG (3) 썸네일형 리스트형 ESG : 이니셔티브(Initiative) ESG를 찾아보며 자주 접하는 단어인 '이니셔티브(Initiativte)'. 글로벌 이니셔티브, ESG 이니셔티브, 환경 이니셔티브 등 이니셔티브라는 단어가 신문, 사설, 보고서 등에서 자주 등장한다. 나는 이니셔티브가 정확히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정의를 찾아보았다. 이니셔티브는 '각 산업계에 속한 글로벌 기업들의 행동강령 또는 가이드라인 형태의 자율 규범'을 의미한다. 하지만 여전히 이니셔티브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다. 내가 이해한 이니셔티브란, 이니셔티브?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이를 지키도록 노력하는 협의체 혹은 단체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 ESG: ESG 생태계(ESG ecosystem) 이해관계자 ESG에 대하여 이야기 할 때 빠짐없이 '이해관계자'라는 단어가 나온다. ESG에서 말하는 이해관계자란 주주, 소비자, 근로자,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 ESG 활동에 관여하는 직·간접적인 관계자를 의미한다. ESG 생태계는 이해관계자와 이니셔티브로 구성되어 있는 집합체다. ESG 생태계(ESG ecosystem) World Economic Forum(이하, WEF)는 ESG 생태계 지도(ESG Ecosystem Map)를 정리하여 ESG 생태계를 구성하는 이해관계자 및 이니셔티브를 정리하였다. 'ESG 생태계 지도'에 따른 주요 이해관계자는 다음 표와 같다. 범주 이해관계자 및 이니셔티브 프레임워크 개발기관(Framework Developers) UNGC, IRC, TCFD, CDSB, SBT.. ESG: Stakeholder capitalism(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자본주의 패러다임의 전환 자본주의는 stockholder, shareholder(주주) 중심에서 stakeholder(이해관계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1970년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윤을 극대화 하는것(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Increase its Profits)'이라는 제목의 글을 뉴욕타임즈에 기고했다. 이후 이 글은 주주자본주의(shareholder capitalism)에 토대가 되었다. 이윤 극대화의 관점 주주자본주의는 최근 단기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신자유주의 경제 시스템이 양극화 문제의 출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단기 이익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노동의 몫은 줄어들고 자본의 몫이 늘어나는 추세가 전세계적으로.. 이전 1 다음